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노량: 죽음의 바다(2023). 김한민 작.

본문

스포 주의: 통제사 돌아가신다.

 

노량: 죽음의 바다 : 네이버 통합검색

'노량: 죽음의 바다'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김한민 감독의 이순신 3부작을 모두 보았는데, 개인적으로 노량이 가장 빼어나다. 오래전이라 기억을 세밀히 더듬어야 하겠지만, 지금 인상으로는 명량은 빌런이 너무 부각되어 지루하고 단조로웠고, 한산은 대사가 조금 어색했다. 사극에 어울리지 않는 근현대식 한자어나 현대식 말투가 너무 많았달까. 명량과 한산 모두 절대악을 떠올리게끔 신파를 장치하여 흐름이 자연스럽지 못한 지점이 있다고 느꼈다.

충무공의 배역을 맡은 세 배우 중 박해일과 김윤석이 최민식보다 나았는데, 이 둘은 과장된 감정을 연기하지 않아서 그렇다. 그 점은 둘이 함께 나온 남한산성에서도 두드러진다. 남한산성에서 박해일은 인조, 김윤석은 김상헌을 맡았는데, 작은 성채에 고립된 박해일의 인조는 격론이 오가는 신하들 앞에서 담담하게 "나는 살고자 한다"라고 말한다. 김윤석은 눈꼬리가 길고 쳐져서 표정이 체념하고 받아들이며 자신을 내맡기는 인상을 주는데 그렇다고 포기한 얼굴은 아니다. 남한산성에서와 노량에서 모두 '제 힘으로 차마 어찌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를 향해 돌파구를 모색한다. 김윤석의 사극은 무언가 고민이 있지만 그걸 밖으로 드러내지는 않으려고 애쓰는 얼굴을 연기하여 좋다. 어찌 보면 배역의 공인격(public person)과 사인격(private person) 사이의 갈등이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 남한산성에서는 조정의 관료로서 안보 차원에서 뱃사공 할아범을 죽이고 개인적으로 고아가 된 손녀를 거두는 것이 예 중 하나다. 김상헌의 공/사인격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개별 사건을 접하면서 발현되어 내면에서 서로 다툼을 벌이는데, 김윤석의 연기는 이 다툼이 전개되어 가는 과정을 드러낸다. 결코 전과 같을 수 없을 사건을 겪으면서 김상헌이라는 사람이 변화하는 모습을 말이다. 영화 막바지에 김상헌이 자결을 시도한 것은 사인격 김상헌이 승리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는 공인격 김상헌의 극약처방이라고 느꼈다.

이제 정마담의 팬티를 내리던 아귀 김윤석은 잊어라!

이제 엊그제 본 영화 이야기를 좀 하자면, 이번 영화는 수작이다. 특히 인상적인 것은 전투씬의 앵글이다. 쇠붙이가 불꽃을 튀는 전근대 전투 장면 중 몰입하게 이끄는 단연 최고봉은 왕좌의 게임 시즌6에서 존 스노우가 벌인 '서자들의 전투' 장면이라고 생각한다. 노량의 전투장면도 여기에 크게 뒤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연출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카메라가 이름 없는 병사 하나를 따라가다가 그가 죽으면 옆의 다른 병사를 뒤쫓고, 그를 벤 장수를 이어서 담는 등. 관객이 전투를 바깥, 위에서 조망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없는 전장에 빨려 들어가 도무지 시선을 어디에 고정해야 할지 모르게 하는 연출이 일품이다.

빼어난 점은 전투 연출뿐이 아니다. 배경음악과 음향, 대사, 등 모든 기본기가 잘 갖춰졌고 딱히 신파도 없다. 명나라 사람은 중국어(북경어), 조선 사람은 우리말, 일본 사람은 일본어를 쓰며 서로 대화할 때에는 통역이나 필담을 하도록 연출한 것도 참신했다. 이러한 핍진성(verisimilitude)에 몰입이 더 잘 되었나 보다. (그런데 진린은 광동성 사람으로.. 그가 이끌고 온 명나라 수군도 광동출신이었다고 하는데, 그러면 이들은 입말은 북경어가 아니라 광동어를 쓰지 않았을까? 산전수전을 다 겪고 밑바닥에서부터 올라온 백전의 노장으로서 입도 상당히 거칠지 않았을까 하는데, 그렇다면 diu wo lo mo 屌倭老母-왜놈들의 애미를 조져라! fuck japs mother! 정도의 돌격구호를 외치지 않았을까 싶다. 참고로 한 세대 정도 뒤의 원숭환도 광동성 출신이다.)

이번 영화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딱히 빌런이 없다는 점이다. 누구 하나가 찌질이면 전개가 뻔해져서 지루하다. 고니시, 시마즈, 진린 모두 딱히 찌질이나 악마로 그려지지 않는다. 고니시, 진린, 시마즈 모두 왜란 이전에 이미 역전의 용사이자 명장이었으며, 조선에서도 수많은 전투를 뚫고 7년이나 버티고 살아남았다. 애정하는 드라마 ROME에서 이탈리아 북부 뮤티나 전투에서 안토니우스를 물리친 옥타비안은 "전투의 목적은 살아남는 것이지. 나는 살아남았고 하시우스(Hirtius)와 판자(Pansa)는 그러지 못했어."라고 하지 않았던가. 다들 자신들이 맡은 일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해온 호걸이다. 한중일의 모든 배역이 나름의 매력이 있어 좋았다. 고니시와 시마즈가 그렇게 못난 인물이라면, 그들에게 속수무책으로 당한 우리는 무엇이란 말인가? 딱히 자위를 위해서가 아니라도, 우리가 맞선 상대가 누구였는지 직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오늘날처럼 이제 일본에게 열패감, 열등감을 느낄 필요가 없는 시대에는 말이다.

ROME season 2, episode 5 "... They did not. I did."

뇌물을 받고 고니시를 살려 보내주려는 진린이 빌런이라면 빌런이겠지만, 그도 나름 명분은 있다. 어쨌거나 왜란은 그의 전쟁이 아니다. 그는 어디까지나 원군이고, 이역만리에 수천수만의 병사를 이끌고 온 장수로서 병사들을 데리고 무사히 돌아가야 할 고향이 있다. 이 점은 영화에서 대사로 분명히 나온다. 왜군도 명군도 '돌아가고 싶다'는 욕구가 영화의 이야기를 이끄는 주요 동력이다. 수년간 금수강산을 유린한 원수를 살려 보낼 수는 없다는 마음은 안타깝지만, 우리 조선인 말고는 이해하고 공감은 가지만 목숨을 걸고서까지 동조하기는 어려운 욕구다. "전쟁을 이렇게 끝낼 수는 없다"라고 되풀이하는 충무공에서 70년 전 6.25의 이승만이 떠오르기까지 했다. 자유세계를 지키기 위해 온 미국과 유엔군이라고 해도, 그들은 어디까지나 개입한 것일 뿐이다. 우리만큼 불가역적이고 깔끔한 매듭을 지어야 할 강한 동기는 없다. 어쨌거나 '남의 일'이기 때문이다. 두 전쟁 모두 결국 '이렇게 끝나'고 말았다. 그 후 일본은 300년 뒤 다시 조선을 침탈했지만, 이것이 극 중 충무공이 염려하던 바로 그 사건이라고 연결 짓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도쿠가와 막부와 조선은 상당히 우호적으로 함께 200여 년의 평화를 보냈기 때문이다. 반대로 북한과 우리는 (우리는 당사자지만 빠진) 휴전협정 이후 지금까지 끊임없이 크고 작은 갈등을 겪고 있는데 거의 모든 도발은 북한이 자행했다. 그렇게 끝낼 수 있는 능력이 있었건 아니건, 그렇게 끝내지 말아야 한다는 판단은 옳았다. (이승만은 본인의 개인적인 행적이나 태도, 역량과는 다소 무관하게, 아주 결정적인 지점에서 여러 옳은 판단을 내린 흥미로운 인물이다)

딱히 신파가 없다는 점도 영화의 매력이다. 충무공의 아들 면이 죽임을 당하는 꿈이 살짝 반복되지만, 이는 충무공 내면에서만 보이는 장면이다. 김윤석의 충무공은 자신의 아들을 죽인 왜군 앞에서도 사인격을 드러내지 않으려 애쓴다. 혼란한 전투 가운데 충무공이 눈먼 총탄에 맞아 돌아가시는 장면은, 놀랍게도 영화에 나오지 않는다. 어쩌면 충무공을 내용으로 하는 모든 컨텐츠에서 가장 손쉽게, 그러면서도 뻔하다고 욕먹지 않게 신파로 활용할 수 있는 장면인데도 말이다. 

누군가 이 영화를 볼 지 고민한다면, 나는 꼭 보라고 권하겠다. (★★)

아 그리고, 쿠키영상이 있다. 크레딧이 꽤 긴데 그 뒤에 나온다. 가득 찼던 상영관에서 우리랑 다른 한 쌍만 보고 나갔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